반갑습니다.
차량을 운행하면서 자연스럽게 자주 손이 닿는 부위는
단연코 실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예전과 다르게 실내의 대부분 파츠들은
플라스틱이 아닌,하이그로시 재질로 이루어져 있기에
손길이 많이 닿일수록 미세한 흠집들이
쉽게 생기곤 합니다.
그렇기에 오늘은 BMW 실내PPF 시공을
소개해드리면서 어떠한 장점 및 단점들이 있는지,
또 어떠한 주의사항들이 있는지에 대해
대구 고카인에서 알려드리겠습니다.
BMW i7 입고
차주분께 인도가 되기 전 실내PPF 시공을 위해
입고된 BMW i7 차량입니다.
그렇습니다.
외부든 내부든 신차일때 PPF 시공을 받는것이
더할 나위 없이 좋습니다만,
신차를 이미 뽑으셨거나 중고차를 구매하셨더라도
거미줄처럼 생긴 잔흠집들이라면
PPF 필름이 흠집들을 커버하게 되면서
광도가 올라오니 큰 걱정은 안 하셔도 돼요.
*깊은 기스들은 100% 복원이 안됩니다 ㅠㅠ
시공부위 : 실내 하이그로시,
계기판,모니터
센터 콘솔 기어 박스를 비롯하여 디스플레이까지
실내 PPF 시공에 들어갈 부위들입니다.
참고로 1열 디스플레이 , 2열 LCD / 씨어터 스크린은
무광PPF 필름으로 시공을 하기로 하셨습니다.
시공 Start
기어 박스부터 재단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재단한 STEK ppf 필름으로 시공에 들어갑니다.
버튼류까지 모두 시공을 해드리고 있습니다.
재단 프로그램은 2D,
시공 부위는 3D 형상이에요.
그렇기에 100% 딱 맞아떨어지진 않습니다.
하지만 에프터마켓에서 판매되는 D.I.Y 필름들보단
훨씬 더 높은 퀄리티를 보실 수 있어요.
비교 사진만 보더라도 확 느껴지실거에요.
재단 퀄리티 비교
물론 필름이 부착되지 않은 것보단 장점이 있겠지만
이왕 보호목적으로 관리의 용이성을 따지는 실내PPF는
당연히 후자를 선택하지 않을까요?
유광/무광 PPF 비교
앞서 말씀드렸듯, 화면이 나오는 곳은 무광PPF로
시공된 모습입니다.
모니터나 디스플레이는 실내PPF 시공할때
각각 장점/단점들이 있기 때문에
취향에 따라 선택해 주시면 됩니다.
“선명한 반사율, 순정스러움이 좋으시다면 – 유광필름
빛반사,내부반사,눈부심이 싫으시다면 – 무광필름”
무광PPF 시공시 주의 사항
BMW 차량 일체형 디스플레이에 무광PPF 시공을
원하신다면 참고하셔야 될 부분!!
계기판에 운전자 주의력 감시 카메라가 위치해있어요.
주의력 어시스턴트라고도 하는데,
간단히 설명을 드리자면 카메라로 운전자의 얼굴을
인식하여 졸음운전을 경고하고, 휴식을 권장해주는
알림을 제공해 준다고 합니다.
이 부분을 무광PPF로 다 덮어버린다면 작동을 안해요.
잘 모르는 업체들도 많이 있기도 하구요.
그렇기에 계기판 디스플레이 무광PPF는 카메라가
위치해있는 부분은 비어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만약 이 기능이 필요 없으시다면 다 덮어드립니다!
유광PPF는 그대로 다 덮어도 정상 작동합니다.
실내PPF의 경우는 한 번의 시공으로
제거하는 일이 거의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나에게 알맞은 시공으로 장, 단점을 비교하여
필름을 선택해보시는건 어떨까요?
이상 BMW 차량의 유광/무광 실내PPF
시공후기였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