링컨 MKZ 하이브리드 차량입니다.
경험이 많은 차종 중에 하나이죠.
입고된 이유?
차량 방음을 위해
링컨 MKZ의 경우
소음 문제로 인해 차량 방음을 여러 차례 시공한 사례들이
많습니다.
오늘은 그중 가장 많이 원하셨던 시공 부위인
도어, 보닛, 휀다 방음을 보여드릴게요!
풍절음 억제를 위한 도어.
하부 및 타이어 소음 억제의 휀더.
엔진음 억제의 보닛.
휀더 방음
시공 가격 대비 효율적으로 높은 즉 가성비 구간,
휀더는 앞과 뒤 모두 시공합니다.
기존의 흡음재를 걷어내고
방진재부터 시공하는 것이 좋습니다.
차음의 역할과 소리와 관련 깊은 진동을 억제하는데
탁월하기 때문이죠.
그 후 소리 흡수를 위한 신슐레이트 흡음재를 시공합니다.
가볍지만 흡수력이 뛰어나 우리나라 제조사 차량의 방음재로 널리 사용하고 있는 자재예요.
앞 휀더의 경우 보디 내부에도 방음을 꼼꼼하게 해야 합니다.
텅텅 비어있기 때문이죠.
어두워서 잘 보이시진 않겠지만,
흡음을 위해 링컨에서도 흡음재를 넣어두고 있습니다.
단,
단가로 인한 양이 적은 게 단점인데 그만큼 중요하다는 방증이겠죠.
꽉 꽉 채우니 엔진룸에서도 신슐레이트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합니다.
뒤 휀더인데요?
앞쪽과 조금 다른 환경입니다.
그래서 다르게 시공이 되어야만 하죠.
보디 쪽에 방진재를 시공합니다.
덕지 덕지 붙이는 것이 아닌
전용 공구를 사용해서 매우 꼼꼼하게 진행하고 있어요.
다만,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
그런데 이게 정석이고 FM이기 때문에 시간이 걸리더라도
제가 어려운 길을 가려고 하는 이유이죠.
좌우 동일하게 진행하고요.
다만 주유구 포지션은 구조적인 이유로 하여
상단부분 공간이 꽤나 많습니다.
신슐레이트 대신 공명음 억제에 좋은 프리미엄 흡음재를
적용해 드렸습니다.
탈거해둔 트림인데
순정 흡음재를 그대로 사용토록 합니다.
그 위에 한 번 더 신슐레이트를 적용해서
휀더 방음은 마무리해드렸고요.
보닛 방음
엔진음을 실외로 유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방진재를 도포합니다.
알루미늄 함량이 높고 부착성이 매우 뛰어난 자재이고요.
표면이 어지럽게 되어있는 이유는
전용 공구로 열심히 시공했기 때문일 것입니다.
꼭 비교해서 업체 선택하세요😁
그 후 흡음재로 보강.
퀄리티 좋죠?
도어 방음
순정인데 나쁘지 않습니다.
그래서 보강만 해주면 풍절음에 매우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했고 그 예상은 적중했네요.
더 넓고 디테일한 방음을 시공했습니다.
조립 간섭은 피하면서,
더 좋은 소음 억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말이죠.
결과는?
저 멀리 군산에서 오셨는데
매우 높은 만족감을 보여주셨어요.
곧바로 체감하시곤 좋은 말씀과 더불어 전화 한통 해주셨습니다. 제겐 이런 후기는 보람과 뿌듯함이ㅠㅠ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