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울산.경남 / 신호등 점멸신호 올바른 통과방법 / 창원, 마산, 김해 / 창원

안녕하세요:)

아다마스PPF 디테일러명 마산점입니다😃

신호등 점멸신호 올바른 통과방법

아다마스PPF & 디테일러명 마산점 & 레인보우 윈도우 필름

신호등 점멸신호 올바른 통과방법

주로 한 밤 중에 운전을 하다보면

도로에서 노란색 혹은 빨간색 신호등이

계속 깜빡거리면서 점등되는 점멸신호를

본 적 있으실거에요 !

이렇게 깜빡이는 신호등은 고장이나 수리중인

것이 아니라 나름의 이유가 있습니다.

오늘은 점멸신호등을 마주하였을 때 올바르게

통과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해요~

점멸신호

점멸하는 등불, 즉 불이 짧은 시간마다

꺼졌다 켜졌다를 반복하는 신호를 말합니다.

점멸 신호로 운영되는 교차로에서는 따로

금지 표시가 없다면 직진, 좌회전, 우회전, 유턴이

모두 가능하지만 보행 신호는 꺼져있으므로

보행자는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를 건너는 방식과

똑같이 주의하여 주위를 살펴 건너야합니다.


👌 점멸신호 체계를 운영하는 이유 👌

“교통의 효율성”

보행자가 거의 없는 구간에서 불필요하게

신호 대기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운영하며,

그로 인해 차량의 연료 효율성이 증가하여 대기

오염 저감에도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낮 시간대에는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교통 체계로 운영하다 교통량이 적은 시간대에

점멸신호로 바뀌는 신호등이 있으며, 두 개의 황색등을

번갈아 가며 점멸되는 신호등도 있습니다.

황색점멸·적색점멸

점멸등의 색상에 따라 의미가 다릅니다.

🟢 녹색점멸 🟢

(대한민국의 신호등에는 도입되지 않음)

2색등에서 녹생 점멸은 곧 신호가 적색으로

바뀐다는 것을 예고하는 것으로

3색등의 황색 신호와 의미가 비슷합니다.

대부분 2색등인 보행자/자전거 횡단등에 쓰이거나,

어떤 경우에는 2구형의 녹색 점멸등도 존재합니다.

✔ 우리나라에서는 차량용 녹색 점멸은

법적 의미가 전혀 없습니다.

✔ 동유럽 등 일부 해외 국가에서는 3색등에서도

녹색 점멸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황색불로

곧 바뀐다는 것을 예고하며 딜레마 존 사고를

예방하는데 사용합니다.


신호등 점멸신호 올바른 통과방법

🟡 황색점멸 🟡

서행하며 지나가세요!

서행은 차량이 바로 멈출 수 있을 정도의 속도를

말합니다. 하지만, 일정한 속도가 명시되어 있지는

않습니다. 황색 점멸등이 켜진 경우에는 보행자와

교차로 내에 차량이 있는지 잘 살피고,

언제라도 브레이크를 밟아 차량을 멈춰 세울 수

있을 정도의 저속운행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 다른 교통에 주의하여 교통표지판의 내용을

주시하면서 속도를 줄여 통과(사실상 신호가 없는 것)

운전자에게 주의를 환기시켜줍니다.

✔ 횡단보도 상에 보행자가 길을 건너고 있으면

정지하여 보행자 통행을 우선


신호등 점멸신호 올바른 통과방법

🔴 적색점멸 🔴

반드시 정지하기!

보행자와 차량이 없더라도 일단 정지선 내에

일시 정지한 뒤 주위를 잘 살핀 후 통행

해야합니다. 간혹, 점멸등이라는 이유로 정지하지

않고 서행하며 통과하게 된다면, 신호위반으로 인한

12대 중과실 교통사고에 해당합니다.

✔ 정지선, 횡단보도, 교차로 앞에서 반드시 일시정지

다른차량, 보행자에 주의하여 안전이

확보되었을 때 통과해야합니다.

✔ 적색 점멸 신호에 멈추지 않고 계속 진행하면

신호위반에 해당되므로 반드시 지켜야합니다.

우선 통행권

황색 점멸등 VS 적색 점멸등

우선순위는 황색 점멸등

적색점멸등의 운전자는 일시정지 후 황색점멸 신호의

차량을 보낸 뒤 통행할 수 있습니다.

양쪽 전부 황색 점멸등인 경우에는

직진하는 차량 혹은 도로 폭이 넓은 쪽에 위치한

차량이 먼저 지나갈 수 있습니다.

보행자 점멸신호

보행자들도 횡단보도 신호의 점멸신호를

지켜야합니다. 대부분 보행자들이 보행신호가

깜빡이더라도 빠르게 건너려는 마음에

횡단보도로 진입하게 되는데 이는 매우 위험합니다.

보행자 신호를 무시하거나 무단횡단을 하던 중

사고가 발생한다면 보행자 책임도

어느정도 발생하기 때문에 자동차가 보행자를

주의해야하는 것도 맞지만, 보행자 책임도

발생한다는 사실을 기억해야합니다.


점멸신호도 신호의 한 체계 이므로,

효율적인 교통환경을 위해 운영되고 있는

점멸신호 통과방법을 숙지하셔서

신호위반 하는 일 없길 바랍니다:)

항상 안전운전하세요💗